통합신공항 이전, 대구·경북 도약의 기회로!!

"현실 안주하다 날려버린 40년, 더 이상 추락할 수 없다"

  • 기사입력 2019.04.08 21:25
  • 최종수정 2019.04.08 22:49
  • 기자명 정재학(객원논설위원ㆍ도시철도3호선경산연장 공동추진위원장)
정재학(객원논설위원ㆍ도시철도3호선경산연장 공동추진위원장
정   재   학
(객원논설위원ㆍ도시철도3호선경산연장 공동추진위원장

  정부는지난 4월2일 국무조정실 발표로‘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부지 선정을 올해 안으로 확정한다’고 밝혔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곧 바로 합동기자회견을 열어‘통합공항 이전사업이 본격화됐다’고 하여, 국방부와의 이견으로 상당 기간 지지부진하던 신공항 이전 건설사업이 드디어 진행될 모양이다.

  돌이켜보면, 대구공항 이전문제는 2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오랜 세월 지역개발규제에 묶이고 항공기 소음에 시달리던 시민들의 이전염원과 지역발전에 있어서 공항의 중요성으로 대구공항 이전확장문제가 일찍부터 계속 대두되어 왔었다. 그러던 차 2006년 노무현 정부 때, 멀지 않아 한계에 이를 김해공항의 대안으로 영남권 신공항 건설문제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이명박·박근혜 전대통령은 후보시절 선거과정에서 이를 대선공약으로 내걸었다. 영남지역은 다수 국민의 접근성, 지역균형개발 그리고 경제성 등을 근거로 밀양을 지지하는 울산·경남·대구·경북과 해양매립으로 인한 안정성ㆍ환경문제 등에도 불구하고 가덕도를 고집하는 부산으로 갈라졌다. 당시 전남·북과 대전·충청권도 밀양신공항을 지지했었다. 그러나 선거 표를 의식한 정치권과 최고지도자의 우유부단은 장기간 지역갈등만 조장한 채 유야무야하다가, 박근혜대통령 재임 중이던 2016.6.21. 외국 용역기관인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의 안(案)대로‘김해공항 확장’으로 어설프게 봉합되어 현재에 이르러 왔다.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3월 대구방문 시,“대구공항 이전, 취수원 문제 등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 앞으로 잘 해결될 수 있도록 살펴나가겠다. 그래서 제가 왔다 가는 거 아닙니까?”하며 통합신공항 이전의 진행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대구공항은 최근‘이용객 400만 시대’를 맞아 포화상태에 이르고 항공여객 성장률은 275%로 전국 최고라 한다. 그러나 활주로가 짧아 국내와 동남아노선 위주라, 미주나 유럽으로 가는 장거리이용객은 한나절이 더 소요되는 인천 국제공항을 이용해야하는 불편을 겪어야 한다. 화물운송기가 착륙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현재 인천공항은 장거리여객뿐만 아니라 국제 항공물류 수송의 99%를 독점한다. 또 항공산업 분야의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들이 속속 인천으로 들어서고 있어 인천이 공항을 중심으로 항공산업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외에도 휴양·레저산업 등 개발유발효과는 엄청나다. 이것이 인천이 인구도 대구를 추월하고, 경제력 규모와 지역발전이 훨씬 앞서가는 주된 이유이다. 또한 부산이 비교우위에서 밀렸음에도‘가덕도신공항’을 기를 쓰고 주장했고, 지금도 틈만 나면 나서는 이유이기도 하다.

  정부의 금년내 부지확정 발표로 이제 공은 우리 대구·경북으로 넘어왔다. 대구·경북의 상생발전을 위해 손을 맞잡고 취임 이래 시ㆍ도에 각각‘상생본부’를 만들고 각종 현안을 노심초사해온 권 시장과 이 지사께 힘을 실어줘야 한다. 군 공항 이전에 소요되는 예산은 8조원대가 넘는다고 한다. 아직 정확한 계산이 안 나온 민간공항 이전까지 합치면 아마도 수십조의 예산이 투입될 것이다.‘기부 대 양여’의 사업비 조달방식, 장거리활주로 구비, 스마트 시티·수변도시 건설 등 구체적인 문제는 시ㆍ도지사와 전문가들에게 맡기고, 그들이 편한 마음으로 확고하게 일을 추진토록 성원하고 힘을 모아주자.

  통합이전공항이 현재 검토되고 있는 두 곳(군위군 우보면과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 중 한 곳으로 확정되고 이전사업이 박차를 가하면 수십만 개의 일자리창출과 지역개발과 함께 각종 산업들이 활력을 되찾는 계기가 될 것이다. 통합공항의 개설로 장거리여객의 편리는 물론 제품수출을 위해 대구·경북에 본사를 두고 수도권에 물류시설과 사무소를 두고 수십 차례 오르내려야 하는 기업의 불편도 해소될 것이다. 또 전남·북과 대전·충청권의 항공수요도 일부 흡수할 수 있고, 영천에 지사를 설치하려다만 외국의 어느 항공기 제조회사 등도 생각을 달리할 것이다.

  이는 또‘경제, 문화, 관광 통합한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는 시ㆍ도지사의 지역발전 의지와 철학과도 완전히 맞아 떨어진다.

  현실에 안주하다 날려버린 40년의 세월 동안 이렇다 할 대형지역사업 하나없이 끝없이 추락하여 포항도 구미도 위축되고 전국 꼴찌에 머무르는 대구·경북! 이제 더 떨어질 곳도 없고, 더 이상 망설일 시간과 이유도 없다 하나로 뭉치는 길 이외에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