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내 고향 태백

  • 기사입력 2021.02.23 21:30
  • 최종수정 2021.02.23 21:33
  • 기자명 김미숙
김미숙
김미숙
· 『수필문학 신인상』등단
· 대구문인협회, 대구수필가협회,
 영남수필문학회 경산문협 회원
· 대통령배 독서경진대회 대상 수상
· 원종린 문학상 수상
· 수필집『배꽃 피고 지고』2011
· 수필집『나는 농부다』2014
· 2014 대구문화재단 문화예술진흥회
창작지원금 수혜

  내가 농부가 될 줄은 몰랐다. 꿈에도 생각을 해 본적이 없었다. 그런 내가 지금 농사를 짓고 산다.
  내 고향은 강원도 태백이다. 눈을 돌려 사방을 둘러보면 온통 산이요 골짜기였다. 넛재와 한티재를 숨 가쁘게 넘으면 경상북도와 강원도의 경계가 나타났다. 그 경계의 철둑을 건너면 강원도 땅이다. 철둑을 건너자마자 '하늘 아래 첫 동네' 라는 표지가 서 있었다. 여름에도 한기를 느끼고 겨울이면 영하 이십 도가 넘어가는 그곳은 시베리아였다. 탄광촌은 바람마저 검은빛이었다. 온통 검은빛 탄가루로 세상을 치장을 해 놓았던 곳에서 나는 열아홉까지 살았다.
  언덕배기에 있던 사택은 천여 가구가 넘게 올망졸망 모여 있었다. '돌구지'라는 마을이었다. 돌산을 깎고 터를 잡아서 지은 집들은 모양도, 크기도, 거리도 엇비슷하게 배열되어 있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석탄 산업이 잘나가던 때였다. 길거리에 다니는 개도 만원짜리를 입에 물고 다닌다고 할 정도였다. 돈을 쫒아 텔레비전에서만 보던 연예인도 길거리에서 종종 만날 수 있을 정도로 탄광촌은 번창했다.
  아버지는 광부였다. 생명을 담보로 땅속 깊은 곳에 들어가 석탄을 캐내는 직업이었다. 낭만적인 기질을 타고났지만 그 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척박한 땅에서 일을 하셨다. 내 기억 속의 아버지는 사각 도시락을 들고 일터로 나가는 모습과 잠자는 모습이 전부였다. 모두가 아버지는 탄광에서 썩을 사람이 아니라고 했지만 할 수 있는 일은 그것밖에는 없었다.
  나는 아버지와 밥을 같이 먹었다거나 여행을 떠난 기억이 없다. 대화를 나눈다든지 야단맞았던 기억도 떠오르지 않는다. 아버지는 오로지 일에 묻혀 살았다. 일주일은 아침에 일하러 나가셨고, 다음 한 주일은 점심을 드시고 나가셨고, 다음 주는 밤 열시가 넘어서야 일터로 떠나셨다.
  나는 그곳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그리고 고등학교까지 나왔다. 어려서부터 몸이 약했던 탓에 보자기에 싼 책을 어깨에 메고 학교에 가는 것조차도 버거웠다. 매사에 기운 없는 생활이다 보니 초등학교의 기억은 안개에 싸인 채 어슴푸레할 뿐이다.
  중학생이 되면서 버스를 타고 학교에 다녔다. 내성적이었던 나의 관심사는 책 읽는 것과 글을 긁적이는 것이었다. 초등학교 때 맨 앞자리에 앉았던 작은 키는 중학생이 되면서 쑥쑥 자라 일 년에 십 센티씩 자랐다. 잠자고 일어날 때마다 컸다.
  중학생이 된 나는 하얀 칼라에 까만색 교복을 입었다. 낙엽 굴러가는 모습을 보고도 까르륵 웃는 나이가 되어서야 학교생활이 즐거워졌다. 모든게 부족했지만 행복한 시절이었다. 막연하게 작가가 되고 싶다는 꿈을 꾼 것도 중학교 삼학년 그 즈음이었다.
  여고생이 되어 등굣길은 무척 힘들었다. 한 시간 넘게 버스를 타고 등ㆍ하교를 해야 했기 때무이었다. 집과 학교까지는 먼 거리였다. 우리 집은 언덕배기의 사택이었기에 버스타는 곳까지 매일 뛰어야 했다. 십분에 한 대씩 오는 버스를 타고도 콩나물시루 안에서 한 시간은 옴짝달짝도 하지 못한 채 시달려야 했다. 버스에서 내려서도 학교까지 이십분은 걸어서 언덕으로 올라가야 했다. 여고 삼 년을 그렇게 보내고 나니 허약 체질이었던 체력이 좋아졌고 걷는 데도 이력이 났다.
  사택에 딸린 도로 옆에서 스무 평 남짓 되는 텃밭이 하나 있었다. 어머니는 그 밭에 온갖 야채를 심었다. 상추며 쑥갓, 깻잎과 우엉, 호박과 감자를 심었다. 밭 가장자리에는 옥수수를 심어서 여름이 익어 갈 무렵 우리는 옥수수를 물고 다녔다. 우리 남매의 도시락 반찬과 아버지의 찬거리는 모두 그곳에서 수확한 것이었다.
  대부분의 여름날 저녁에는 가마솥에 감자와 옥수수를 삶았다. 우리 다섯 남매는 두레상에 모여 앉아 삶은 옥수수와 감자를 먹었다. 먹을 것이 많지 않았지만 우리는 그것으로도 행복했다. 지금은 모든게 풍족하지만 그때보다 더 행복하거나 즐거운 것은 아니다. 텃밭에서 키운 채소로 끼니를 때우던 그때가 아득하게 그립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