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한가위와 행복경제 이야기

  • 기사입력 2022.09.21 12:38
  • 기자명 대구대학교 명예교수_박천익
대구대학교 명예교수 박천익
대구대학교 명예교수
박  천  익

  명절이 가지는 행복의 경제적 의미는 무엇이며, 명절을 보내기 위해 지출하는 소비와 금전의 지출은 경제적으로 어떤 기능을 하는 것인지를 생각해 보는 일은 우리의 삶을 보다 생동감 있게 하고, 구체화 하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한가위는 농업사회를 살아오던 선조들이 정성스레 가꾼 햇곡식으로 음식을 만들어, 조상들에게 감사를 드리는 추수 감사제의 성격을 지닌 대명절이다. 한가위는 嘉俳(가배)라는 신라시대의 이두식 표현인 한 가운데 날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했다. 현재의 한국인들은 한가위를 추석으로 일컬으며, 설과 함께 우리나라의 2대 명절로 생각한다.

  명절은 글자 그대로 이름 있는 좋은 날이다. 그래서 우리민족은 명절에는 삶의 현장에서 하던 일상을 멈추고, 가족들이 모두 부모님이나 중심가정으로 모여 함께 안부를 나누고, 즐기는 기쁜 날이다. 명절은 피를 나눈 가족과 형제들이 모여서 삶의 기쁨을 확인하고 사람다움을 찾는 날이다. 모름지기 사람이라면, 자신의 존재 뿌리를 알아야 하고, 세상을 살아가면서 은혜입고 도움을 받은 사람들에 대하여 감사와 보답의 마음을 갖고 살아야 한다. 옛 부터 “孝는 百行之本” 이라고 했다. 조상과 부모를 생각하는 마음은 백가지 행동의 근본이라는 뜻이다. 부모를 생각하는 마음이 모든 행동의 기본이 됨을 말한다. 명절은 그 어느 때보다도 부모와 조상의 은혜를 기억하고 보답하는 날이다. 추석은 특별히 온 가족이 한 해의 풍년 농사에 감사하며, 하늘과 조상님들께 감사를 드리는 추수 감사제이기도 하다.

  조상을 생각하고, 부모에게 감사하고, 가족의 안녕과 행복을 기원하면서 사는 마음 자세는 모든 사람들이 지녀야 할 마음의 기본적인 자세이자 도리이다. 그래서 우리민족은 대명절인 설과 추석에는 3천만 명이 넘는 민족의 대이동을 한다. 조상을 존숭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그해 지은 햇곡식으로 정성스레 만든 음식에 진실한 마음을 담아 차례를 올린다. 조상들의 음덕을 기리고, 묘소를 찾으며 참배도 한다. 이러한 행사를 하는 한가위는 민족의 범사회적 도덕재무장이며, 정서의 대대적인 훈련기간이기도 하다. 사람다움을 표현하는 가장 의미 깊은 의식의 교육장이기도 하다. 추석을 맞는 사람들의 마음은 넉넉하고 푸근하다. 풍요한 추수를 하게  해준 하늘 님과 조상, 그리고 함께하는 가족과 소중한 친지에 대한 감사의 마음으로 심성을 다지고 확인하는 행복의 실천 장이다. 

  명절은 사랑하는 가족들이 함께 모여서 서로를 격려하며, 어려움을 위로하고 힘과 용기를 주는 따뜻한 자리이며, 사람다움을 느끼고 배우는 가족공동체 교육의 자리이다. 함께 좋은 음식을 만들고, 제례 일을 같이 하며, 서로간의 존재에 감사하며, 기쁨과 사랑의 마음으로 협력하고 배려하는 마음의 행복을 나누는 자리이다. 기쁨은 나누면 배가되고, 슬픔은 나누면 반이 되는 하늘의 법칙을 배우는 자리이다. 그것은 명절이 주는 행복경제학이다. 경제원칙에 의하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 행복경제의 자리이다. 좋은 마음과 좋은 일을 위해서 귀한 돈을 쓴다는 것은 축복이다. 사람은 왜 애써 돈을 버는가? 소중한 일에 쓰기 위함이다. 일찍이 천재 경제학자 존 메이나드 케인즈는 사람들은 왜 돈을 보유하고자 하는 질문에 거래적 동기, 예비적 동기, 투기적 동기를 든바 있다. 돈은 무엇보다도 우선 거래적, 예비적 동기에 의하여 벌려고 한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용처에 돈을 쓰기 위해 돈을 버는 것이다. 돈을 쓰는 일, 즉 경제행위는 필요한 욕구를 실현하는 행위이니 즐거운 일이다. 반드시 해야 할 일을 위해서 소정의 돈을 쓰는 행위는 행복을 실현하는 일이다. 적당한 소비는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나 모두 미덕이 되는 일이다. 사람답게 살기 위해서 명절에 쓰는 돈은 미덕이며, 애민을 실천하는 행복실현 행위이다. 추석에는 각자가 귀한 돈으로 명절행사에 필요한 물건을 사고, 은혜에 보답하는 마음을 돈으로 주고받으며 서로를 표현한다. 사랑의 마음을 담은 선물을 나누는 명절은 행복의 실천장이다. 돈을 어떻게 벌고,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지만, 결국 돈은 합당한 필요에 쓰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돈은 정당한 방법으로 잘 벌어야 하고, 또한 필요한 곳에 잘 써야 한다. 

  잘 번 돈과 잘 쓰여 진 돈은 세상을 밝게 하는 묘약이다. 평소에 잘 쓰여진 돈과 같이 추석 명절을 값지게 보내기 위해 적절히 쓰여 진 명절지출은 사람다움을 만들고, 삶을 풍요롭게 한다. 직장생활을 하는 자식들이 부모님을 생각하며, 자신의 경제적 능력에 맞는 적당한 소정의 명절비를 드리는 것은 도덕심을 키우고 서로에게 행복의 파이를 높인다. 조부모나 어른들은 꽃보다 귀한 손주들을 위해, 기쁜 마음으로 명절 용돈을 주는데 이는 서로에게 사랑과 소중함을 표현하는 최고의 미덕이다. 명절 용돈을 주는 조부모도 기쁘고, 받는 손주들도 행복한 윈윈의 행복경제이다. 옛 부터 성인도 시속을 따른다고 했다. 현대는 시장 자본주의 사회이다. 돈의 소중함이 과거보다 훨씬 커졌다. 모두가 슬기롭고 효율적인 삶을 위해서 돈을 잘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명절을 복되게 보내기 위해서는 적당한 돈의 지출이 필요하다. 명절날의 가족 간의 금전의 나눔은 돈의 미학이며, 행복을 위한 슬기이다. 서로 간에 적당한 돈을 지출하는 명절비는 행복경제학이며, 효율적인 행복의 실천행위이다. 돈에는 무절제한 낭비도 금물이지만, 너무 지나치게 인색한 것도 문제이다. 그것은 반행복경제이며, 비능률의 경제학이다. 좋은 일에 좋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돈은 행복한 인생을 사는 묘약이며, 삶의 효율이자 합리적인 행위이다. 효율과 합리를 잘 선택할 수 있는 지혜는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지녀야할 매우 중요한 덕목이다.
끈질긴 코로나19 상황에도 불구하고 민족의 대명절 한가위는 건재하다. 한가위는 '팔월의 가운데' 또는 '가을의 가운데'를 의미한다. 한가위에서 ‘한’은  “크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음력으로는 가을을 상징하는 달이 7,8,9월이다. 이 석 달 가운데 8월은 중간이고, 15일은 그것의 중앙에 위치한다. 그래서 음력 8월 15일은 가을의 한 가운데임을 의미한다. 하늘이 높고 푸르며, 인생을 풍요롭게 하는 오곡백과가 익어가는 한가위는 분명 하늘이 내린 축복된  날이다. 축복된 날은 축복을 받은 만큼 합당한 경제적 지출이 있어야 한다.

  우리의 전통적인 산업은 농업이고, 농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자연조건이다. 현대와 같은 농사를 위한 인위적인 시설 설비가 빈약하던 전통사회에서는 농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천기 즉 하늘의 뜻이다. 농사절기에 가장 좋은 한가위는 하늘의 뜻에 따라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풍요의 계절 가을에 있다. 농업사회에서 한해를 풍년으로 농사짓는 일보다 더 농심을 즐겁게 하는 일은 없다. 그래서 한가위는 풍요이자, 감사이자, 기쁨의 상징이다. 물질적인 풍요가 모든 것은 아니지만, 경제적으로 풍요하다는 것은 그 만큼  행복실현의 가능성을 높인다. 옛 부터 쌀독에서 인심난다고 했다. 시장자본주의가 시대적 가치가 되고 있는 오늘날, 적절한 돈의 사용과 나눔을 실천하는 한가위는 행복실현의 날이다. 한가위 명절에는 돈보다 몇 백배 귀한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하여, 그리고 인연이 있는 소중한 이웃을 위하여 멋진 행복 경제를 실천하는 날이기도 하다. 모두가 마음의 문을 활짝 열고 한가위 명절이 주는 중요한 의미를 새기고, 행복한 명절을 보냈으면 좋겠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