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문학과 행복경제 이야기

  • 기사입력 2022.10.13 09:54
  • 기자명 대구대학교 명에교수_박천익
대구대학교 명예교수 박천익
대구대학교 명예교수
박  천  익

  문학은 무엇이며 그것은 행복경제와 어떤 관련성을 갖고 있을까? 문학을 사전적 의미로 해석하면 그 의미의 범위와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 할 수가 있지만, 대체로 그 의미를 풀어보면, 문자에 의한 예술작품, 시, 소설, 희곡, 평론, 수필, 일기, 기행문, 전기문 등을 통해서 글자로 인간의 생각이나 감성을 표현해 내는 진·선·미 등의 가치추구 행위라고 정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문학은 곧 인간다움을 찾는 행위이다. 인간다움을 찾는 행위는 진정한 행복을 찾는 행위가 되기도 한다. 문학은 사람이 언어를 표현 매체로 해서 인간이 추구하는 가치를 표현하고, 이를 통한 자아의 발견과 바람직스러운 삶의 자세를 일깨워 주는 글을 통한 교육이자, 지적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옛날에는 문학을 곧 학문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학문이 발달해 감에 따라 문학은 진리를 추구하는 일반적인 학문과는 달리 문자로 인간의 내면세계의 가치를 표현해 내는 작품 활동이라고 보았다. 예를 들면, 문학은 작품을 통해서 인간의 도리나 가치를 표현하는 작품행위이다. 자유나, 정의, 사랑, 희망 등과 옳고 그름의 가치를 추구하고, 작가가 추구하는 어떤 특정의 가치나 주장들을 부정하거나 거부할 수도 있는 작품 활동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문학은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창작활동이다. 글을 통해서 작품을 통해서 사회와 시대를 고발하고 인간이 추구하는 올바른 가치를 세워나가는 활동이다. 문학은 잘못된 현실을 비판하고 고발해나가는 작품 속에서 사회의 정의를 바로 세우고 싶어도 한다. 동서양의 고전들은 대부분 문학을 통해서 인간성의 부활을 시도했었다. 동서양의 많은 작품들은 문학을 통해서 인간의 삶을 관조하고, 인간다움을 다양한 형태로 추구해나간다. <채털리 부인의 사랑>을 쓴 로렌스는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에서 비치는 무리한 배금주의 사상을 비판한다. 삶에서 순수한 열정이 특출했던 괴테는 <파우스트>에서 “상업자본주의 본질을 들어 전쟁과 무역과 해적”은 삼위일체라고 갈파하기도 했다. 괴테는 상업 또는 상업유통으로부터 생기는 잉여가치를 부의 축적에 중점으로 두고, 그것을 기초로 하는 사회의 상부구조와 문화의 발전을 기대한 것이다. “전쟁과 무역과 해적이 삼위일체”라고 한 것은 상업자본의 생리를 잘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그의 <자서전>과 <젊은 상인에의 충고>에서 기업가정신 또는 자본주의 정신을 잘 갈파했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은 후일 막스 웨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이라는 빛나는 책을 쓰게 한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 프랭클린이 든 기업가의 덕성은 부유해지기 위한 덕성 13가지로 표현되는데 섭생, 침묵, 규율, 결단, 검약, 근면, 성실, 정의, 중용, 청결, 평정, 순결, 겸손이 그것이다. 그중에서도 근면과 절약이 가장 강조되었고, 웨버가 보는 기업가는 이러한 금욕적 윤리에 기초하여 기업 활동을 하는 사람이다. 파스테르나크는 그의 작품<닥터 지바고>에서 문학을 통한 시베리아 동토의 얼어붙은 휴머니즘을 고발했다. 그는 볼쉐비키들이 저지른 전쟁으로 무참히 희생되는 인간의 사랑과 문학 그리고 가족의 별리를 그렸다. 그는 인간의 삶에서 가장 소중하게 다루어야 할 요소들이 전쟁과 총포 속에서 눈발처럼 사라지는 소련사회를 고발 했다. 어네스트 헤밍웨이는 그의 작품 속에서 인류애와 전쟁의 무용함, 인간의 보편적 가치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고발했다.

  이렇게 보면, 문학은 인간성을 개발하고 또한 인간성의 중요함을 일깨우는 소명을 갖고 있다. 문화경제학의 창시자 존 러스킨은 참다운 경제학은 인간의 삶에서 생명력과 인간다움을 귀하게 평가하는 경제학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문학은 단순한 부가 행복의 지표가 아님을 지적하고 있다. 인간의 행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사람다움 즉, 사랑, 정의, 평등, 의리, 협동, 용서, 인내, 관용, 지조, 겸손 등의 가치가 중요함을 얘기하고 있다. 문학은 인간다움의 추구를 통해서 인간의 행복실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하는 일종의 휴머니즘 추구행위이다. 한때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문학적 경제학”과 “과학적 경제학”이 논제에 오른 적이 있는데 이는 경제학을 두 가지 종류로 구분 한 셈이다. 문학적 경제학은 말로 하는 경제학이고, 과학적 경제학은 수리와 과학으로 하는 경제학이라고 쉽게 말할 수 있으나, 보다 본질적으로 분석한다면, 문학경제학은 경제 현상을 규범적 가치와 철학적 가치에서 분석하는 경제학이고, 과학경제학은 경제현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경제학의 한 분석 방법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경제현상을 나누어 이해한다면 문학적 경제학은 경제현상의 당위적 과제들을 분석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문학작품은 작품이 지향하는 가치를 중심으로 표현하는 언어적 예술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문학이 지향하는 바는 특정의 작품 속에 내재하는 특정의 가치를 중심으로, 주인공들의 성격과 가치 등을 통해서 인간이 지향해야 할 삶의 모습들을 표현해 낸다. 문학은 작품을 통해서 다양한 형태로 인간이 지향해야 할 이상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주장한다. 이를테면 작품속의 주인공들을 통해서 저자는 다양한 인간의 삶의 모습을 비추거나 그려 가지만, 그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다움의 실현을 통한 인간의 궁극적 가치인 행복의 추구이다. 

  문학이 지향하는 바는 인간이 추구하는 가치를 통한 특징적인 주인공들의 모습을 통한 인간성찰과 인간성의 발견이다. 이를테면 노르웨이 극작가 입센의 <인형의 집>은 여성의 인권해방 문제를 파헤침으로써 잠재된 인간본성과 기만을 탐구하고, 인간의 진실을 확립한 문학적 성찰중의 하나이다. 아일랜드 문학가인 버나드 쇼는 작품을 통해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다함께 비판하며 경제학의 중요성은 인간성을 복원하는 인간관계를 통한 사회적 발전을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사랑으로 결합된 인생을 정상적으로 사는 과정에서 정직함을 알고, 귀하게 생각하며 그것을 통한 삶의 행복을 찾아내는 사회로의 복원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국 문학은 작품을 통해서 인간이 참다운 행복을 추구해 나가고 진실을 찾는 길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올바르지 못한 인간의 가치 이를테면, 권력, 명예, 돈과 부 등에 대한 인식이 정당하지 못할 경우 과감히 배격하는 용기 있는 행동도 문학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그려낸다. 

  그렇게 보면 문학은 인간이 바르게 살고, 인간답게 살기를 바라며 그렇게 살아서 삶이 행복하기를 바라는 탐구활동이기도 하다. 문학은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참된 행복을 누리며 살 수 있는지를 안내하는 인생의 지도자이기도 하다. 문학은 인생의 길잡이이며, 행복의 안내자인 셈이다. 문학과 행복경제는 인생에서 참된 행복을 향수하기 위하여 문학적 성찰과 이해가 필요함을 일깨워 준다. 꼭히 모든 사람이 전문적인 문학인은 아닐지라도 문학이 추구하는 세계를 알고 그것을 자신의 일상에서 적절하게 활용하고, 그 가치과 철학을 중심으로 일상을 살면 인간의 행복의 파이는 커질 수가 있다고 본다. 

  문학의 대·소작들이 밝히는 인간성찰의 모습들을 잘 습득하여 문학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가치를 자신의 일상 속에서 실현해 나가는 것이 좋다. 행복경제는 행복을 실현하는 최선의 경제적 선택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그것은 단지 경제적 선택만이 아닌 문학적 가치의 선택도 포함시켜야 만이 진정한 행복실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 문학은 인간행복을 바르게 실현하는 길잡이와도 같은 것이다. 그래서 문학은 행복실현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해야할 분야이다. 인생의 중요가치들이 문학을 통해서 잘 표현되고 또한 명쾌하게 다듬어 진다는 사실은 문학적 바탕이 행복을 위한 경제적 선택을 최적화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