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제는 국민이 알아서 하라는 정부

  • 기사입력 2022.03.16 22:40
  • 최종수정 2022.03.17 00:41
  • 기자명 김문규 발행인
발행인 김문규
발행인 김문규

    2020년 첫 코로나 발생당시 정부는 확산방지와 격리치료에 총력을 기울였다. 매일 확진자 숫자와 사망자 수치가 실시간 중계 됐다. 국민은 뉴스를 접하면서 공포와 경각심에 최대한 사회활동을 줄이고 철저한 자가방역을 했었다. 정부의 노력과 국민의 적극적 참여로 K방역이라는 미명을 세계에 알리기도 했었다. 

  오미크론이 확산되기 전까지만 해도 정부는 내·외국인을 가리지 않고 1천만 원이 넘는 치료를 무상으로 해주었다. 전파력이 강한 변이바이러스가 급격히 전파되면서 확진자와 사망자수도 가파르게 증가했다. 지난해 말에는 병상부족 사태로 많은 고초를 겪었다. 

  치명율은 낮지만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은 전파력만큼 확진환자도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델타바이러스는 1일 확진자가 7천명이었다. 다시 변이를 일으킨 오미크론은 1일 확진자 규모가 30~40만 명대에 이르고 있다. 확진자수를 40만 명이라고 가정하면 최근 치명율 0.16%를 반영하면 하루 640명이 사망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고 한다. 

  오미크론 환자의 급증으로 의료대응체계가 무너지고 있다. 21개월 된 아기가 코로나 확진 뒤 상태가 악화됐지만 병상을 배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119를 통해도 인근병원에 소아병상이 없고, 가까운 종합병원에는 중환자병실이 만실이었다. 보건소에서는 PCR검사 양성이 나와야 병상을 알아봐줄 수 있다고 했다. 관할 광역지자체에서만 병상배정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한다. 

  이에 대해 방역당국은“보건소가 아니고 3월 6일부터 가동한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로 연락했으면 바로 권역 내 다른 병원으로 배정이 됐을 것”이라고 하며“센터를 가동한지 얼마 안 되어서 병원이 잘 몰랐던 모양”이라는 설명이다. 

  현장에서는 병상 배정절차를 숙지하지 못하고 있고, 환자나 보호자는 설명을 듣지 못해 불안하고 혼란스럽다. 아기가 학진이 되어서 집에서 치료하는데 보건소에서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보호자가 전화를 하지 않으면 어린이 확진자를 확인할 수 없다. 일손이 부족해서 안된다고 했다. 

  이것은 확진자의 기록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있다는 증거다. 정부는 소아환자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서 5~11세 어린이에게도 화이자 백신접종을 하겠다고 발표했다. 코로나 펜데믹 초기에는 세계가 인정한 K방역에 안주하여 제대로 된 준비가 없었기 때문에 지금 이런 현상에 처한 것이다. 의료현장에서는 병상을 못찾아 전전하는 환자가 적지 않다고 한다. 현재 추세로는 하루 확진자 수가 얼마나 늘어날 지 장담할 수 없다. 

  김부겸 총리는 지난 11일 주간평균 1일37만 명에서 정점을 이루고 확진자 수가 하향할 것이라고 했지만 바로 그날 확진자수는 38만 명을 넘었다. 1월에는 3만 명, 2월 25일에는 25만 명이 정점이라고 발표했지만 번번이 빚나갔다. 정부는 이런 낙관적인 전망을 토대로 방역해제, 거리두기완화, 검사, 추적, 확진자, 접촉자 격리를 풀었다. 확진자가 세계에서 압도적인 21%를 찍었는데 정부에서는 국민에게 알아서 감염되지 말라며 방역도 경각심도 놓아버렸다. 

  오미크론은 독성이 약하다 곧 정점에 도달한다며 희망메시지를 전하는데만 열중이다. 신속 항원검사에서 환자로 분류된 사람 중에 5%가 미감염자라고 한다. 하루수천, 수만 명이 확진자로 판명되는 위험이 따른다.

  미 감염자가 치료약을 먹어도 부작용이 없는지 미감염자와 확진자가 같은 병실을 쓰면서 감염이 되도 방법이 없다는 것인지, 정부에서는 코로나치료제 충분하다지만 일부병원에서는 동났다. 당국은 12만 명분이 비축돼  있다고 하지만 일선현장에서는 구하기 힘든다고 한다. 

  질병청이 60%는 비축하고 있어 집중관리 치료대상 수만 명인데 처방받는 환자는 하루 4천명뿐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치료제 문제는 앞으로가 더 큰 문제가 될 것이다. 정부의 계속되는 정책들은 국민이 납득하기 어렵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