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엄마의 창

  • 기사입력 2022.09.21 12:39
  • 최종수정 2022.09.21 12:41
  • 기자명 김미경
김미경 - 이화여대 졸업. 시인, 수필가, 대구 거주- 2017.12 《영남문학》 시 등단, 2018.2《한국수필》 수필등단 수상경력 - 2017. 경북문화체험 전국수필공모전 장려상,   2018. 국제 지구사랑 작품공모전 시 입상,   2018. 경북일보 문학대전 시 입상,  2018. 진도 시사랑 공모전 입상,   2019. 국제가이아 문학공모전 수필대상,   2019. 달구벌 수필문예대전 입상  2019. 독도문예대전 수필 특선  2019. 자원 및 환경에너지공모전 수필 입선  2019. 달서주부수필공모전 입상  2019. 복숭아문학상공모전 수필 최우수상  2019. 대구일보 경북문화체험 수필공모전 입선  2019  문열공 매운당 이조년선생 추모백일장 시조차상,   2019. 만해‘님의 침묵 백일장’시조 장려상  2019. 제1회 예천내성천 공모전 시 입상  2019. 제12회 전국시조공모전 입상- 대구문인협회. 한국수필가협회, 한국문인협회회원
김  미  경

  생의 마지막 창이 창공을 향하여 열렸나 보다. 불쑥 날아오른 콘도르 한 마리가 빙빙 선회하기 시작한다. 대신 작별인사라도 하는 것일까. 아니면 낯선 길을 헤맬 영혼을 위해 마중이라도 나온 것일까. 콘도르는 마지막 손을 흔들듯 선회하면서 하늘 높이 오르더니 마침표 같은 소실점만 남긴 채 구름 속으로 사라졌다. 
  엄마가 정말 하늘로 올라가셨나 보다. 막 시토가 끝난 엄마의 무덤은 울다 만 자식들의 눈두덩처럼 아직도 붉다. 모두들 갑자기 나타난 콘도르를 올려다보느라 하늘에다 눈동자를 붙박았다. 오늘따라 청명한 가을 하늘은 눈이 시리도록 높고도 멀다. 저마다 못다 한 작별의 말들이 많은지, 콘도르가 사라진 지 이미 오래인 하늘에서 눈을 거두지 못한다.
  콘도르는 잉카의 말로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는 자유’라는 뜻이 담긴 독수리의 일종이다. 페루에는 영웅이 죽으면 콘도르로 부활한다는 전설이 있다. 어찌 보면 지상의 모든 어머니들도 영웅이지 않을까. 한 생명을 잉태하고 또 그 생명을 죽을 산고를 다해 낳아 기르고, 마지막 자신이 숨 가두는 순간까지 자식들 걱정만 하다가는 존재가 바로 엄마다. 약하지만 가장 강한 존재가 엄마인 것이다. 엄마의 마지막 가는 길을 콘도르가 안내하는 듯싶어 한편으로는 신기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안심이 된다. 
  이 년여 시간 동안 엄마는 마지막 생의 고비를 넘느라 안간힘을 쓰셨다. 대장암 3기에 발견된 암 덩이는 떼어내도 달라붙는 깜부기처럼 끝까지 생을 파고들었다. 마지막 두 달 가량은 거의 병원에서 보냈다. 마지막 길이 될 줄도 모르고 병원에 입원한 엄마는 병상 밑에 놓여있는 신발만 하염없이 내려다보셨다. 더 이상 퇴원이 힘들다는 의사의 통보를 듣자, 엄마의 눈은 흔들리기 시작했다. 큰딸인 내가 마지막 모험을 시도했다. 
  암환자들의 마지막을 도와주는 재택 호스피스를 신청하고 무작정 집으로 모셨다. 이삼 일에 한 번씩 오르내리던 열이 가장 큰 걱정이었으나, 집에 돌아온 엄마는 오히려 심적 안정을 되찾았다. 날이 갈수록 음식을 먹지 못하는 엄마를 위해 쌀을 갈아낸 미음을 매일 끓였다. 그나마도 쌀을 갈아서 뻑뻑한 쌀 물만 받은 뒤 쌀은 한 줌 겨우 넣은 뜨물 같은 미음이었다. 음식을 먹고 나면 바로 구토와 화장실을 가는 엄마를 보면서도, 우리는 무엇도 대신해줄 수 있는 게 없었다. 
엄마의 창은 점점 흐려지고 있었다. 베란다에 앉아서도 먼 산 바라기하는 시간이 길어졌다. ‘집이 최고다. 집에 오길 잘했어.’ 혼잣말처럼 자꾸 되뇌었다. 한 순간 한 순간이 언제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기에, 늘 고맙다는 말도 잊지 않으셨다. 화장실 가는 시간이 잦아졌다. 세 시간 간격에서 한 시간 간격으로, 화장실에 머무는 시간도 삼십 분에서 한 시간으로, 거의 한 시간마다 화장실 가서 한 시간을 머무는 셈이었다. 밤이라고 예외는 아니었다. 기저귀를 사용하자는 말이라도 나오면 질색을 하셨다. 아마 그것이 엄마의 마지막 자존심이었는지도 몰랐다. 화장실에서 기어 나오는 엄마의 두 눈은 뿌연 안개가 서려 있었다.
  엄마의 창은 언제나 ‘맑음’일 줄 알았다. 자식들을 바라다보는 두 눈은 유리처럼 맑아서 굳이 말을 하지 않아도 마음이 훤히 보였다. 멀리서도 자식들이 행여나 별일 없는지 엄마의 창은 늘 열려 있었다. 삶에 지친 자식들은 수시로 그 창으로 뛰어갔고, 그 창을 다시 나올 때면 겨처럼 묻은 상처들도 말끔히 닦여 나왔다. 그런 엄마의 창이 점점 닫혀져가고 있다.
  다행히 하던 일을 접고 쉬는 내가 엄마 곁을 지키는 시간이 많았다. 그동안 사업에 매달려 사느라 친정 부모님을 돌볼 여유조차 없었다. 명절조차도 친정에 들르지를 못했다. 시집이 종가라 차례가 끝나기 바쁘게 일터로 뛰어가야 했고, 오히려 그런 딸을 돕기 위해 엄마는 매장으로 뛰어나와 팔을 걷어붙였다. 명절에는 주변 식당도 문을 닫기에 종일 굶을 딸자식을 위해 직원들 식사까지 바리바리 싸 들고 오시곤 했다. 이제야 여유를 갖고 돌아다보니 엄마는 벌써 먼 길 떠날 채비를 하고 계셨다. 계실 때 잘하라는 말이 유독 나를 두고 한 말 같았다.
  엄마는 그렇게 집에서 사십 일을 더 머무셨다. 떠나시던 날은 종일 미동도 없었지만, 오히려 누군가를 기다리는 사람처럼 보였다. 문득 미국과 군대에 가있는 두 아들이 떠올랐다. 폰을 통해 손자들의 음성이 귓전에 들리자, 거짓말처럼 ‘응’ 소리가 엄마의 가슴에서 울려나왔다. 그것은 육신의 터널을 뚫고 죽을힘을 다해 빠져나온 엄마의 마지막 신음 소리였다. 피붙이를 향한 엄마의 창은 마지막 순간까지 그렇게 열려 있었던 게다. 그리운 음성을 모두 들은 후에야 엄마의 창은 서서히 닫히기 시작했다.
  엄마의 안식처를 절에서 관리하는 납골묘로 정했다. 금오산 자락 끝에 있는 절이다. 절에서는 칠 일마다 일곱 번의 재를 지낸다. 재를 지내러 갈 때마다 습관처럼 하늘을 올려다보곤 했다. 혹시 오늘도 보이려나. 마지막 재를 지내는 날, 거짓말처럼 콘도르는 또 한 번 우리 앞에 나타났다. 훨훨 이 산에서 저 산으로 날아다니면서 창공을 자유롭게 누비는 모습이었다. ‘그래 이제 괜찮아, 이렇게 훨훨 날아다니잖니. 그래, 그래 너희들도 잘 지내.’ 라고 하듯이. 사실 콘도르가 아닌 그냥 독수리였을 테다. 설사 독수리면 또 어떤가. 어미 잃은 자식들 눈에는 자유로운 영혼의 마지막 작별인사처럼 보였다.
  요즘도 엄마가 생각날 때면 종종 절로 달려간다. 까만 묘비석이 엄마의 눈동자처럼 반짝반짝 우리를 반긴다. 육신은 비록 우리 곁에 계시지 않지만 엄마의 창은 여전히 열려있나 보다. 묘비 앞에서 주절주절 하고 싶은 말들을 쏟아내고 나면 돌아서는 발길은 또 훨씬 가벼워진다. 그래, 이제 엄마의 창은 벌써 저 높은 하늘에서 말간 별빛으로 우리를 지켜보고 있으리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버전